일상의 의제 및 사회 주요 현안이 정책으로 가기 전이나, 의제 자체가 시민들이나 지역사회에 의미가 있는지 실험해보는 자리입니다. 시민이 제안하거나, 기관(자치구, 지역)에서 중요하게 화두되는 이슈의 경우, 실험을 통해 제안의 실효성과 시민의 의견을 확인합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공론장을 열어 더 많은 시민과 해당 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나 대안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시민제안이나 지역사회 문제해결 방안, 정책 개선안의 실효성을 파악해보고 싶을 때
시민제안이나 의견을 바탕으로 지역 또는 기관의 변화를 위한 실험을 하고 싶을 때
제안이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여 실행해보는 자리를 마련하고 싶을때
해당 주제가 실험장을 통해 시민들의 다양한 선택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판단 될 때
시민제안이나 정책의 사전 실행 결과를 기반으로 지역 또는 공공 정책의 공론화 계기를 만들고 싶은 기관 또는 단체
시민제안이나 문제 해결 방안, 정책 개선 사항의 실효성을 검증해보고 싶은 활동가 또는 기획자
시민이 제안한 의제를 실험하여 공론화 여부와 공론 방향을 설계합니다.
시민의 제안이나 사회적 이슈를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할 수 있는 공론화 과정을 만듭니다.
시민 제안이나 의견의 발전적 실행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 실제 문제해결이나 정책화에 기여합니다.
시민이 제안한 의제를 실험하게 될 경우, 제안자에게 의제 사용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 실험장 참여 의향을 확인합니다.
제안자의 제안배경과 관련 활동여부, 관련 네트워크 등을 질문하고 참여여부에 대해 확인합니다.
본 제안을 활용하여 실험장으로 기획하게 된 이유와 방향을 명확하게 공유합니다.
실험장은 제안의 채택이나 정책화, 입법화 단계가 아니며, 제안의 실현 가능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과정임을 충분히 안내합니다.
실험을 통한 결과가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실험의 질문을 구체적으로 해야합니다.
실험장을 통해 새로운 문제해결 방안을 고민해보게 하는것이 중요한 목적이기 때문에 시민이 제안한 효과, 쟁점사항, 관련 기관이나 부서가 제시한 한계 등을 우선 정리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실험장의 질문은 시민제안의 효과와 부서가 제시한 어려움의 내용을 중심으로 뽑는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빨대를 안쓰는 것만으로도 환경에 도움을 줄까?”, “임산부석 자리에 인형을 놓아두면 임산부들만 앉을까?” “지하철 유휴공간에 어르신들을 위한 야학을 열면 어떨까요?”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험장은 1회성의 제한적인 실험이자, 3~6개월의 기획 및 운영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추진해야 합니다.
실험장은 시민이 제안한 의제나 기관에서 실험으로 진행하면 좋을 것 같다고 판단한 의제로 실현될 수 있으나, 본 실험의 기획 및 운영 기간에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선정된 의제가 시의성이 높은 의제라 당장의 실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의제는 실험장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실험장을 통해 장기적으로 의제를 고민하고 시민들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의제나 정책 개선사항이 드러나길 바라는 실험일 경우 실험장에 적합한 의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실험장의 의제는 관심있는 그룹들과 함께 공동협력하여 추진할 수 있습니다. 실험의 지역이나 장소를 설정하고 이에 관련한 대상자들을 참여자나 기획자로 초대하여 보다 실험의 효과성이 입증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 조사와 협력이 필요합니다.
실험 이후 공론화를 염두에 두고 과정을 설계하고 기록을 남깁니다.
여러 대안이 있다면 실험장 결과를 토대로 더 나은 선택을 위한 공론장을 열 수 있습니다. 이를 고려해 실험 과정을 기록하고 결과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실험에 참여한 제안자, 실험에 참여한 시민 등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여 논의의 참고자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 [👉바로가기] 01 소개✦ [👉바로가기] 02 주제 선정✦ [👉바로가기] 03 실험장 기획✦ [👉바로가기] 04-05 실험장 준비 및 실험장 진행